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목록부자되는법 (2)
바른생활
[김일구의 쩐쟁] 금융투기의 역사
https://youtu.be/ACs2aWkbfbk 1. 주식시장의 버블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예일대 교수 로버트 씰러. 그는 2015년 자신의 저서에서 주식, 부동산, 채권시장까지 모두 버블인 것 같다고 이야기한다. 즉, 중앙은행에서 의도적으로 금리를 내리는 것이다. 2. 웹세미나에서 지금은 버블입니까? 라는 질문에 로버트 씰러 교수는 지금을 혁신의 시대라고 생각하며 버블이다 아니다보다 혁신을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답변을 했다. 3. 역사적으로 볼 때 일반인들이 투기적인 순간은 역사적으로 혁신의 순간이었다.
카테고리 없음
2021. 3. 2. 18:21
[김일구의 쩐쟁] 인플레이션이 온다
https://youtu.be/Pc0ZLvYrspE 본 글은 위 영상의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1) 주식에게는 인플레이션이 악재가 아니다. 2) 채권은 fixed income으로 불리며,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회사가 잘되던 안 되던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지만, 더 많은 것을 나눌 수는 없다. 3) 인플레이션에서는 채권의 명목가치는 유지되지만 실직적인 가치는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손해다. 주식은 시장에 맞춰서 기업의 수익이 올라가거나 유지된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을 가장 싫어하는 자산은 채권이다. 4) 채권은 장기채권과 단기채권이 있다. 인플레이션이 기대되면 장기국채금리는 올라가게 된다. 왜냐하면 아무도 채권을 갖고싶어하지 않기 때문에 수익률이 올라가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것이 장단기 ..
살다_경제학/주식부자 프로젝트
2021. 2. 24. 1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