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플레이션 (2)
바른생활
https://youtu.be/EffiXY7dZMA 3월 시장의 흐름은 어떻게 될 것인가? 1. 3월은 1,2월과 비슷한 방향성으로 보여진다. 2/24 기준에서 장초반 미국시장이 급락하였다. 테슬라와 아마존의 급락하였다. 이전과 다르게 코로나의 수혜주가 먼저 빠지는 것을 보았을 때, 3월은 가치주보다 성장주가 약세일 것이다. 2. 3월은 달러 인덱스가 올라갔다. 현재의 달러 약세는 장기적으로 볼 필요가 없다. 첫째는 역사적으로 보면은 달러 약세는 미국 국채와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국채와의 차이에사 발생한다. 보통 미국 국채의 금리가 높다. 최근에도 미국의 금리가 빠르게 오르면서 미국 채권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달러 강세가 나타날 것이다. 둘째는 중국 인민은행, 일본은행, 유로ECB, 미국 중앙..
https://youtu.be/Pc0ZLvYrspE 본 글은 위 영상의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1) 주식에게는 인플레이션이 악재가 아니다. 2) 채권은 fixed income으로 불리며,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회사가 잘되던 안 되던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지만, 더 많은 것을 나눌 수는 없다. 3) 인플레이션에서는 채권의 명목가치는 유지되지만 실직적인 가치는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손해다. 주식은 시장에 맞춰서 기업의 수익이 올라가거나 유지된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을 가장 싫어하는 자산은 채권이다. 4) 채권은 장기채권과 단기채권이 있다. 인플레이션이 기대되면 장기국채금리는 올라가게 된다. 왜냐하면 아무도 채권을 갖고싶어하지 않기 때문에 수익률이 올라가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것이 장단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