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돈 (2)
바른생활
1. 돈이란 무엇인가? [정의] 중앙은행에서 신용에 근거해서 찍어내는 종이, 즉 신용화폐를 말함. 원시시대 : 물물교환(서로 필요한 물건이 있으면 양 한 마리와 소금 한 포대를 서로 바꾸는 식) 고대 ~ 중세시대 : 금화와 은화 등 금속화폐 등장(교환의 편의 제공) 18C 이후 : 지폐 사용. 중앙은행(한 나라의 금융과 통화정책의 주체가 되는 은행)이 가지고 있는 금과 은의 양만큼 발행할 수 있었음 1970년 이후 : 닉슨 쇼크(금본위제 폐지), 지폐는 금으로부터 자유로워졌으며 무한정 발행이 가능함 2. 통화란 무엇인가? [정의] 현재 흘러다니고 있는 돈을 말하며, 통화의 양을 통화량으로 부름 가격결정의 중요한 요인은 파는 물건이 귀해지는 경우, 또는 돈이 많이 늘어 흔해지는 경우의 두가지이다. 현재 통..
# 2000년 미국 코넬대학교의 연구팀은 극장에서 영화 관람 전에 공짜 팝콘을 관객에게 나눠줬다. A는 대형용기에, B는 중형 용기에 넣어줬다. 팝콘을 일부러 눅눅하게 만들어 정말 맛이 없었다. 그런데 대형용기를 받은 사람들이 중형 용기를 받은 사람들보다 그 맛없는 팝콘을 53%나 더 많이 먹었다. '큰 그릇 = 더 많은 음식 섭취'인 것이다. : 전제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가계에서 예산을 편성할 때에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여유있게 편성한다. 하지만 위에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는 예산에 맞춰서 소비를 하게 된다. 예산이 줄어든다면 우리가 하는 소비는 더 합리적으로 변할 수 있다. 마트를 가는 횟수나 온라인 쇼핑몰 이용 횟수, 외식 횟수 등을 줄이는 것도 우리의 소비를 조정하는 방법이 된다. # 일은..